본문 바로가기

육아3

2023년도 바뀌는 육아 정책 (Best 5) 2023년 변경되는 가장 큰 육아정책 위한 정책 Best 5 가장 큰 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육아휴직 기간 연장 & 부모급여 신설 - 육아 휴직 기간 연장 : 1년 → 1년 6개월 - 2023년부터 만 0세 월 70만원, 만 1세 월 35만원(시설 이용 시 50만원) - 2024년부터 만 0, 1살에 대해 부모급여가 각각 100만원, 50만원 2. 난임치료 휴가기간 연장 - 현행 3일인 인공수정 등을 위한 난임치료 휴가기간을 상반기 중 더 늘리기로 했다. (구체적인 것은 아직 안나옴) 3. 기저귀 바우처 단가 인상 - 기저귀 바우처 단가: 월 6만4000원 → 8만원 - 조제분유: 월 8만6000원 → 10만원 4. 아동양육비 지원대상 기준 완화 - 중위소득 52% → 60% 이하 - 월 20만원.. 2023. 1. 30.
아빠 육아휴직에 대해서.. 남성은 육아 휴직을 사용 할 수 있을 것인가? 남편, 아내 둘 다 아이가 태어난 후 누가 주 양육자가 되는가는 육아휴직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육아 휴직자 조건 1. 회시 근속 기간 6개월 이상 2. 아이가 만 8세,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 양육 목적 남성 육아휴직의 비율을 살펴보면 2022년 육아 휴직자 총 13만명 남성 육아휴직자 28.9% 37,885명 (3+3 부모육아휴직제 영향) 2021년 육아 휴직자 11만 555명 남성 육아휴직자 26.3% 29,041명 2020년 육아 휴직자 11만 2040명 남성 육아 휴직자 24.5% 27,423명 남성 비율은 20년 24.5% → 21년 26.3% → 22년 28.9% 로 매년 올라가는 추세입니다. 작년 한해 남성 육아 휴직 비율.. 2023. 1. 29.
아빠의 육아효과 과거 80~90년대, 00년대만해도 육아는 여자가 해야 하는 일이었습니다. 아빠는 밖에서 돈을 벌고, 엄마는 안에서 내조를 하는 등의 문화가 대부분이었으나 이제는 바뀌었습니다.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맞벌이가 점차 확산되면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더 이상 육아는 여성의 몫이 아니게 된 것입니다. 남성들이 하지 않으면 안되는 세상이 온 것입니다. 유치원 행사나 학교 입학식에서 아빠들을 보는 것과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남성들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대기업/공기업에 한정적인 것 같습니다) 남성의 육아 효과 아직은 남성 중신의 가부장적인 가치관이 여전히 존재하기는 하지만 점차 약해지면서 아이들을 함께 돌보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빠와 엄마가 주는 아이들의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 2023.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