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06

대한민국 유치원, 초등학교1 대한민국의 유치원 한국의 유치원은 3~5세까지의 아이를 대상으로 한 교육의 장소입니다. 일반적인 한국의 학교와 마찬가지로 입학 그리고 졸업이 있으며 종업식은 유치원마다 각각 내부 정책에 따라 다르게 편성됩니다. 누리과정의 실시 이후 보육 기관인 어린이집과 유사한 편입니다. 3월 말부터 2월 초까지 학제가 편성됩니다. 1909년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유치원은 나남유치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전인 1897년 부산유치원이 만들어진 경우도 있으나, 유치원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한국 내 일본인의 거주를 위해 만들어진 유치원으로, 1909년 설치된 나남유치원으로 보는 것이 바르다고 보고 있습니다. 정동유치원이 10년에 만들어지고, 경성유치원이 13년에 만들어졌으며, 14년도에는 이화유치원(현 이화여자대.. 2023. 1. 9.
대한민국 교육과정 문제점 소득 수준에 따른 교육 격차 특수목적고등학교와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그리고 일반고등학교와의 비용은 내우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국제고등학교의 평균 비용은 8,550,000원 외국어고등학교는 5,380,000원, 사립 외국어고등학교는 8,370,000원,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는 8,250,000원 등 일반고등학교와 대비하여 5~8배가량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고 대학 입시에도 차이가 납니다. 전체 학생 대비 일반형 고등학교에 비해 특수목적고등학교,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소위 명문대학교 입학 학생 수는 매우 많습니다. 이것은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와 특수목적고등학교의 교육 제공 방식, 교육의 질, 학생의 학업 성취가 일반 고등학교에 비해 월등하게 높기 때문에 명문대학교에 입학하는 것에 대하여 월등하게 높.. 2023. 1. 7.
대한민국 교육과정 2 중학교의 평가 제도는 초등학교보다 더 세밀하며 절대평가로 진행합니다. 정기적인 시험과 수행평가 점수를 합친 점수를 1의 자리를 반올림하였을 때의 점수로 평가하며 A-B-C-D-E-F로 90점대는 A, 80점대는 B등급과 같이 성적이 부여되고, 내신 평가 등급을 지정합니다. 학부모들의 입학 경쟁을 해소하고자 박정희 정부 시절 중학교 입학시험이 폐지하였으며 랜덤으로 선발하는 추첨방식으로 변경되면서 중학교의 대부분은 평준화되었습니다. 하지만 소위 서울 8학군으로 불리는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과 소득이 낮은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학업, 성적 및 능력 차이는 상당히 있습니다. 대부분의 대한민국 중학교는 대부분 남녀가 같이 다닐 수 있는 남녀 공학이나 아직 일부 중학교는 남학생, 여학생만 다닐 수 있는 단성학교.. 2023. 1. 5.
대한민국 아이들의 교육과정 유아교육 우리나라에서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미취학 아이들에 대한 유아교육을 합니다. 원래 영유아를 보육하는 데 어린이집은 집중하며, 교육하는 데 유치원은 집중합니다. 표준보육 과정으로 불리는 0~2세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무상 및 공교육화되고, 누리과정이 시행되면서 3~5세를 포함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비슷해졌습니다. 대한민국에는 17년에 어린이집이 4만 개 있고 80%는 사립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치원은 9천여 개 존재하며, 이 중 50%는 공립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누리과정 동일한 과정을 제공하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영유아에게 교육과 보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누리과정은 학비와 보육에 대한 지원금을 제공하는 과정의 하나입니다. 초등학교 과정과 더불어 유아의 특성 심사숙고하여 구성하였습니다. 이.. 2023. 1. 4.